주식투자의 기본중에 기본은 저평가된 주식에 투자해서 수익을 거두는 것 입니다. 최근들어 묻지마 투자로 비정상적인 거래가 보이는 회사들을 보면 안타깝기도 하고 역시 수급에 장사 없구나를 체감하지만, 어찌됐던 주식투자는 기본을 깔고 가야 승산이 있는 게임 입니다.
그중에서도 회사가 얼마의 돈을 벌어들이고 있는지, 영업이익은 얼마인지를 잘 봐야 할텐데요. 영업이익은 단순히 금액이며, 영업이익률이란 얼마의 현금을 벌었는지 % 퍼센테이지로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제표만 간단히 보고 “이 회사는 얼마의 영업이익률을 가졌구나” 라고 바로 알 수 있도록 계산 방법을 쉽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지금 확인 하세요.
영업이익이란?
영업이익은 매출액보다 더 중요한 항목 입니다. 매출액이 아무리 높다한들, 영업이익이 없다면 그것은 적자회사나 다름이 없지요.
내가 빵집 사장이라고 칩시다. 빵을 판 모든 금액은 전부 매출액이 되겠습니다. 그러나 그 빵을 만드는데에는 많은 돈이 필요 합니다. 가게 임대료, 빵에 들어가는 밀가루, 설탕, 우유, 전기세, 보험료, 직원 임금 등등 입니다.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들어간 유지비용을 뺀 나머지를 말합니다. 즉 실제 경영주가 가져가는 진짜 수익인 셈 입니다.
판매관리비란?
판매관리비는 줄여서 판관비로 많이 불리웁니다. 영업이익률을 알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하는것이 판관비 입니다.
앞서 말씀 드린대로, 빵을 만드는데 필요한 모든 투입되는 금액이 판관비로 보시면 됩니다. 즉 밀가루, 우유, 설탕, 인건비, 임대료, 보험료 등등이 판관비가 됩니다.
기업이 마진을 높이기 위해 원가절감에 힘쓰는 이유도, 영업이익을 높이기 위함 입니다. 판관비는 재무제표상 아래 그림처럼 나타 납니다.

기업을 운영하려면 많은 곳에 이런 비용이 투입이 됩니다. 경영주는 최대한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하여 매년 원가절감을 실시합니다. 그 이유가 이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죠. 인건비도 여기에 포함되기 때문에 사람을 줄여 판관비를 줄이기도 합니다.
영업이익률이란?
말 그대로 비율을 말합니다. 그럼 영업이익이 어떤것에 비율을 말 할까요? 바로 매출액 입니다.
내가 만들어낸 총 매출액에서 판관비를 제외하고, 순수 남는 영업이익이 몇 퍼센트인지를 계산하면 됩니다.
내가 빵을 열심히 만들어 팔았더니 총 100만원을 벌었습니다. 그러나 빵을 만들기 위해 투입된 판매관리비가 60만원이라고 칩시다. 그럼 나에게 40만원이 남게 되겠죠?
그럼 순수 이익인 40만원이 100만원이라는 매출액에서 몇퍼센트인지를 계산 하는겁니다. 이것을 영업이익률이라고 합니다.
영업이익률 계산 방법
영업이익률을 계산하는 법은 매우 간단 합니다. 아래의 공식을 대입하면 됩니다.
(영업이익 / 매출액) * 100 = 영업이익률 입니다.
즉 40만원에서 매출액을 나누면, 0.4이며 여기에 100을 곱하면 40이 됩니다. 즉 영업이익률은 40%가 되는 것이죠.
영업이익률은 얼마여야 적정할까?
영업이익률이 얼마여야 꽤 괜찮은 영업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드는편이 좋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예를 들겠습니다.
삼성전자 23년 영업이익률은?
삼성전자의 23년 매출액은 258조원 입니다. 영업이익은 6조 5천억원 입니다. 위에 영업이익률 계산공식을 대입해 본다면, 약 2.5% 입니다. 매우 낮죠? 낮은 이유는 23년도에 돈을 별로 못벌었기 때문 입니다.

만약 24년도로 계산해 본다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률은 10.8% 정도가 계산 됩니다.
SK하이닉스 24년 영업이익률은?
SK하이닉스의 경우 23년도가 적자 였기 때문에 24년도로 계산 해 보겠습니다. 적자인 경우 영업이익률 계산에 의미가 없기 때문이죠.
SK하이닉스의 24년도 매출액은 66조원 입니다. 영업이익은 23조원 입니다. 와, 제 눈을 의심 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이 엄청 나네요. 무려 35.4% 입니다

보통 코스피 대형주의 경우 약 5~15%의 영업이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이닉스가 기록한 30%대의 영업이익률은 엄청난 수치 입니다. 때문에 하이닉스가 엄청난 주가 상승을 하고 있는것으로 보여 지는군요.
보통 10% 이상되는 영업이익률을 가졌다면 매우 준수한 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은?
네이버증권 또는 각자 쓰시는 주식어플에서도 확인이 가능 하지만, 재무제표 그 자체를 편리하게 보시려면 다트(dart) 사이트를 추천 합니다. 주소는 아래 첨부해 드릴게요.
위 사이트에서 회사명을 검색 후 가장 최근의 보고서를 열람 하세요. 사업보고서가 년단위의 보고서이니 년단위 검색을 추천 합니다. 예를 들기 위해서 저는 한일현대시멘트란 회사를 검색해 보겠습니다.
추천드리자면 회사명 검색 후 아래 정기공시를 선택하고 조회 하시면 보고서만 표시가 됩니다. 그럼 가장 최근 보고서인 23년도 사업보고서를 열람 하겠습니다.

열람 후 재무제표 항목에서 포괄손익계산서를 열람 하세요. 포괄손익계산서에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표시 됩니다. 만약 연결기준에 해당하는 회사를 검색하신다면 위에 연결재무제표에서 연결포괄손익계산서를 선택 해야 합니다.

그럼 54기라고 해서 가장 좌측에 표시된 숫자가 가장 최근의 매출액 입니다. 한일현대시멘트의 경우 54기에 5046억원의 매출액과, 480억원의 영업흑자를 기록 했군요.
만약 영업이익 부분이 적자라면 (숫자) 로 표시 됩니다. 위에 숫자로 대입 해본다면 한일현대시멘트의 23년도 영업이익률은 9.5% 정도로 보입니다. 나름 괜찮은 영업이익률 입니다.
여러분들도 본인이 투자한 회사를 DART 사이트에서 검색 후 가장 최근의 ‘사업보고서’를 열람 하셔서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천글
